신규 리소스를 배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확인을 해보니 배포 후? 빌드를 하는 중에 디비가 연결이 되지 않아 끊기는 문제가 생겼다.
해당 리소스 ec2 에서 핑 테스트를 해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.
Unable to execute HTTP request: Network is unreachable
혹시나 하여 핑을 구글에 날려보아도 먹통이다..
내가 알아보고 확인한 결과 총 5가지 문제중 하나로 인해 나오지 않을까 싶어 해당 케이스 를 정리해보았다.
1. 네트워크 연결 문제: 이 오류는 네트워크 연결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컴퓨터나 서버가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으면 AWS EC2 엔드포인트와 통신할 수 없습니다.
- 내 로컬에서는 이상이 없음으로 위 문제는 아니다.
2. 보안 그룹 설정: EC2 인스턴스와 연결된 보안 그룹이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은 경우 인스턴스가 다른 리소스와 통신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보안 그룹이 적절한 IP 주소 및 포트의 트래픽을 허용하는지 확인하십시오.
- 혹시나 변경된 정보가 있는지 aws 콘솔 로 들어가 확인 해 보아도 변경사항이 없었다.
3. 라우팅 테이블 설정: VPC와 연결된 라우팅 테이블이 올바르게 구성되지 않은 경우 인스턴스가 다른 리소스와 통신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라우팅 테이블이 트래픽을 올바른 대상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.
- 라우팅 테이블 또한 확인하고 최근에 변경 사항이 없어서 문제가 없었다.
4. 방화벽 설정: 컴퓨터나 서버에서 방화벽을 활성화한 경우 방화벽이 AWS EC2 엔드포인트에 대한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. 방화벽이 적절한 IP 주소 및 포트에 대한 트래픽을 허용하는지 확인하십시오.
- 방화벽 그룹 또한 변경사항이 없어서 문제가 아닌듯 보인다.
5. AWS 서비스 문제: 드물지만 AWS 서비스 자체의 문제로 인해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AWS 상태 페이지를 확인하여 EC2 또는 기타 서비스에 진행 중인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십시오.
- 위 4가지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의심 스러운 부분은 여기 뿐인듯하다.
내가 전문가는 아니기 떄문에 일단 해당 ec2 를 중단 및 재시작을 하는 방향으로 시도해보았다.(해당 ec2는 개발 서버 였기에)
재 시작을 통해 빠르게 복구 될 줄알 았지만 이번엔 재시작 이후 cpu 점유율이 미친듯이 오르는 문제에 부딪쳤다..
아래는 점유율이 오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고한 블로그 사이트 이다.
https://nan-sso-gong.tistory.com/32
[AWS] EC2 인스턴스 CPU사용량 100% 오류(크래딧 문제 아님)
본 포스팅은 AWS EC2머신을 사용하던중 cpu사용량이 100퍼센트에 육박하면서 ssh연결등이 모두 끊기는 상황에 대해서 말하고자 합니다. ++하단에 추가내용 기술합니다 오류라고 한 것은 어제, 그리
nan-sso-gong.tistory.com
결론 부터 말하면 완전 중단 후 텀을 두고 재 시작을 하니 죽어도 내려가지 않던 CPU 점유율이 점진적으로 줄어 들었다..
위 참조 블로거를 보시면 스택오버 플로우에도 나와 같은 거지같은 상황을 맞이한 사람들이 있는데 이사람들 또한 크레딧 문제가 아니라는 생각에 모두 stop and start(역시 말 안들을떄는 재부팅이 최고..)
를 가장 많이 투표되었다.
일을 굉장히 짧게 한건 아니지만 항상 새롭다..
'코드 > de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wagger UI (2) | 2023.11.27 |
---|---|
슬로우 쿼리 문제 (mariadb boolean column index) (0) | 2023.11.24 |
jenkins slack webhook 에러 (2) | 2023.11.22 |
mariadb(mysql) 테이블 깨짐 복구 (Table 'product_images'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) (2) | 2023.11.22 |
java dateTime 타임존 (2) | 2023.11.22 |